전체 글260 New Relic Hack the Planet 콘테스트 Announcing the New Relic Hack the Planet Contest on DEV! Your mission? To build an application that will help combat climate change using New Relic dev.to 2 월 28 일까지 3 가지 기후 변화 관련 범주 에서 New Relic의 최근 출시 된 New Relic One 플랫폼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도전 3가지 주제로 진행 과학 및 관찰 New Relic을 활용하여 오픈 소스 데이터의 힘으로 전 세계의 과학 현상 (극지 만년설 감소, COVID-19 사례, CO2 배출량 등)을 관찰 새해, 새로운 리소스 구축 한 기존 애플리케이션에 New Relic을 구현하고 기후 중심.. 2021. 1. 31. from personal story HTML 코드를 수정하고, CSS 를 끄적거리고 있다보면 가끔 회의감이 들때가 있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처음 맡았던 프로젝트는 DBMS 튜닝 및 성능 테스트 자동화 프레임워크였고, 다음 프로젝트는 형태소 분석 및 온톨로지 구축 프로젝트였다. 검색 솔루션 회사로 이직하여 크롤링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덱싱을 설계하며 어느 사이트든 검색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일을 하며 다녔다. 그에 비해 HTML, CSS 코드는 꽤나 단순하며, 비 전공자도 조금만 배우면 사용 가능한 일이다. (물론 가능한 것과 잘하는 것은 다르다) 이때까지만 해도 DBMS, 온톨로지, 검색에 이르는 경력은 꽤 괜찮게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그 당시 궁극적으로 하고 싶었던 건 시맨틱, 유비쿼터스 이런 것이었고, Back Knowled.. 2021. 1. 31. ISO/IEC DIS 5230 : OpenChain 요약 개요 ISO/IEC DIS 5230: OpenChain 사양은 성공적인 오픈 소스 라이선스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의 요소를 정리한 국제 표준이다. 라이선스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이 표준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조직은 OpenChain Conformant(적합)라는 지정을 받을 수 있다. ISO/IEC DIS 5230은 Joint Development 재단(Linux Foundation의 프로젝트)에 의해 준비되었으며 ISO(국제 표준화 기구)와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 제출되었으며, 2020년 12월에 채택되었다. 200명 이상의 기여자들의 피드백을 통합했으며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광범위한 조직을 포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리눅스 재단에 따르면 OpenChain 사양은 다음 네 가지 주요 목.. 2021. 1. 30. Container Driven Development 시작하기 Container Driven Development 는 컨테이너화 된 환경 내에서 코드를 작성, 실행 및 테스트하는 개발 Flow이다.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의 빌드 및 패키징에 적용하며 자동화된 테스트를 비롯해 개발, Stage, Production에 단일 된 Artifact를 제공함으로써 전통적인 work flow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문제를 해결한다. 특히 환경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와 버그가 최소화된다. 또한 빌드, 테스트, 배포 전반에 걸쳐 자동화된 프로세스 구축이 가능해지는데 이는 더 빠른 속도로 지속적 배포가 가능하게 한다. 컨테이너는 OS 수준에서 CPU, 메모리, Storage, 네트워크 리소스를 가상화한다. 민감한 프로세스는 하나의 논리적 Sandbox로 격리될 수 있으며.. 2021. 1. 30. 기술의 딜레마 예전에 WebFlux 도입 여부를 두고 꽤 긴 논쟁을 했었다. 나의 주장은 WebFlux 도입이 필요한지 따져봐야겠지만 아직 대부분의 팀원이 잘 모르기 때문에 WebFlux만 볼 게 아니라 관련된 사전 지식의 수준을 먼저 높인 뒤에 도입해야 할 것 같다 였고, 상대방의 주장은 일단 적용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면 되지 않겠느냐는 입장이었다. 나 역시도 관심을 많이 두고 있고 출시 이후부터 개인적으로 꾸준히 샘플프로젝트도 만들어보고 스터디를 해왔기 때문에 성향상 평소 같았으면 일단 적용하는 쪽에 손을 들어줬을 테지만 이 상황은 좀 다르다고 생각했다. 기존에 작성하던 개발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꿔야 하는 수준이라고 생각했고, 충분히 학습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입하는 것은 독이 될 수도 있겠다고 보았다. 실제도 가이드.. 2021. 1. 29. Kubernetes 성숙도 모델 2014년 Google에서 발표한 이후 2021년 현재 Kubernetes 의 인기도는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아니 단순한 인기를 넘어 클라우드 환경에서 반드시 필요한 필수가 되고 있다.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의 2020년 11월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2%가 현재 프로덕션 환경에서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있으며, 83%는 해당 환경에서 Kubernetes를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84%가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kubernetes는 78%가 사용하고 있다고 보여 주었던 2019년 조사 결과와 비교된다. 이렇게 많은 곳에서 Kubernetes를 사용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그 시스템 전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도입하는 것은 꽤 복잡하다. Kubernte.. 2021. 1. 28.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