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v's/스크랩

언어학 관점에서의 기술문서 가독성 향상 전략

by RevFactory 2021. 2. 5.

출처 : tech.kakaoenterprise.com/100

 

언어학 관점에서의 기술문서 가독성 향상 전략 #기술문서 #테크니컬라이터 #TW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그동안 테크니컬커뮤니케이션 팀에서는 테크니컬 라이팅의 소개, 글쓰기 전략 등에 대한 내용을 다뤘었는데요. 오늘은 조금 특별하게 테크니컬 라이팅 관점이 아닌 ‘언

tech.kakaoenterprise.com

 

가독성 향상 전략

앞선 내용에서 기술문서에서 가독성을 저하시키는 대표적인 원인들을 살펴 보았습니다. 이제 원인을 파악했으니 해결 방법을 찾아볼까요? 저희는 이번 포스팅을 준비하면서 가독성을 개선해 줄 수 있는 언어학 관점에서의 몇 가지 이론들을 관심있게 살펴보았습니다.  

 통제언어

통제언어(Controlled Natural Language)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의 축소판입니다. 일상적인 언어 사용에서 본질적으로 나타나는 요소인 중의성 또는 모호함 등을 해소하기 위해 언어 사용의 규칙을 더 엄격하게 지정한 것으로, 문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기법 중 하나입니다. 

통제언어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어휘부의 사용어휘 제약 : 지정된 단어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의미가 모호한 단어는 사용하지 않으며, 하나의 단어는 하나의 지정된 의미로 사용됩니다.

  • 문법부의 쓰기규칙 제약 : 지정된 문법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층위의 문장 구조나 불필요하게 긴 문장 형식은 사용하지 않으며, 문장의 어순을 엄격하게 규정합니다.

[표 1] 어휘부의 사용어휘 제약 예시 (출처: 통제언어 모형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어휘

할당된 의미/사용

승인된 예

비승인/금지 사용

가다 (동)

(어느 장소로) 가다

화면이 문서 아래로 갑니다.

밤이 깊어 간다.

가져오다 (동)

(구체적인 것을 누구에게/어디로) 가져오다

다음 명령은 원하는 문서를 가져옵니다.

충격을 가져오다.

가하다 (동)

비승인 : ‘더하다’ 또는 ‘주다’를 사용하라.

-

충격을 가하다.

변화를 가하다.

...

     

나오다 (동)

(어느 장소로) 나오다

화면에 표시가 나옵니다.

사진이 예쁘게 나오다.

...

     

하다 (동)

비승인 : 구체적인 의미를 가진 동사로 교체하라.

-

작업을 하다.

...

     

 

 

동사에 관련된 통제 어휘 제약을 살펴보면, 가령 일상 언어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동사 '가다' 및 '나오다'는 통제 언어에서는 동작을 의미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동사 '하다'는 구체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으므로, 구체적인 의미를 가진 동사로 교체하도록 지시합니다.

기술문서에서 통제언어를 사용하게 되면, 복합명제 문장, 불필요한 보조용언, 중의적 문장 구조 등 앞서 기술문서 가독성 저하의 원인으로 지적되었던 현상들을 대부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통제언어의 지정된 어휘와 문법을 외국어의 어휘와 문법에 대응시키면 기술문서의 번역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② 테마-레마 원리

같은 정보라도 다양한 방식으로 쓰여질 수 있고, 그 방식에 따라 독자가 정보를 수용하는 정도도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표현하느냐에 따라서 가독성도 달라질 수 있는데요. 문장의 어순 배치를 통해 정보 수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있습니다. 바로 테마-레마(Topic and comment) 원리입니다.

[그림 5] 기술문서 내 개념들 간의 관계 (동일한 개념이 선으로 연결됨)

 

[그림 5]를 보면 기술문서 내에는 여러 개념이 연쇄적으로 등장하며 관계를 갖습니다. 실제로 개념을 설명한 문장, 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다른 개념을 끌어온 문장 등이 존재합니다. 개념의 적절한 배치는 독자가 글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테마-레마 원리는 어순이 자유로운 언어에서 테마가 주어(앞), 레마가 술어(뒤)에 위치하도록 하는 원리입니다. 테마(Theme; Topic)는 청자/독자의 일반지식에 속하는 보편적인 정보로, 상황이나 문맥에 주어져 있는 알려진 정보입니다. 반면 레마(Rheme; Comment/Focus)는 테마에 관련된 새로운 정보입니다. '테마' 및 '레마'라는 단어에서 보여지듯 이는 독일에서 온 말입니다. 독일어는 영어에 비해 어순이 자유롭기 때문에 테마-레마 원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림 6] 본문에 나타난 테마-레마 원리

 

[그림 6]은 앞서 본문에서 테마-레마 원리를 설명한 문장으로, 문장 자체도 테마-레마 원리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한 문장 내에서 테마(주제어)  레마(새로운 정보)가 테마-레마 순서로 등장합니다. 앞선 문장에서 '레마'였던 개념이 다음 문장에서 '테마'로 자리잡고, '레마'에 해당되는 새로운 정보를 설명하는 연쇄가 일어나는 것이 색깔과 화살표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어순이 자유로운 언어인 한국어에서도 테마-레마 원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가 있을까요? 테마-레마 원리가 한국어 화자에게도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자율조절읽기(self-paced reading)'라고 불리는 실험이 수행된 적이 있는데요. 자율조절읽기란 문장의 단어(또는 구)를 하나씩 보여주고, 특정 키를 누르면 다음 단어가 나와서 계속 읽을 수 있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한 단어 또는 구를 읽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림 7] 자율조절읽기 과정

 

재미있는 사실은 테마-레마 원리를 준수한 문장과 준수하지 않은 문장으로 자율조절읽기 실험을 수행한 결과, 한국어에서도 테마-레마 어순을 적용했을 때 평균 읽기시간이 짧은 걸로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실험 결과,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테마-레마 원리를 준수하여 문장을 작성했을 때 독자들이 문장을 더 빠르게 인식했습니다. 이는 독자들이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더 쉽게 받아들인 것으로 가독성이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장 단위의 자율조절읽기 시간을 측정했을 때 테마-레마 원리를 준수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미묘한 차이가 발생했지만, 실제로 독자는 엄청나게 많은 양의 문장을 읽어가며 원하는 정보를 찾아가기 때문에 이 조그만 차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글을 작성할 때 앞서 설명한 테마-레마 원리를 준수하는 것이 더 읽기 쉬운, 즉 가독성이 좋은 글을 작성하는 전략이 됩니다.



출처: https://tech.kakaoenterprise.com/100?fbclid=IwAR2bUocC1rL3P1KOVAv12zgQlhA-9WHwf3xDWDaQO4f2ACIBDEXY0GFZ_zw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기술블로그 Tech&(테크앤)]